89. 금속 덕트 공사
(1) 전선은 절연 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 제외)으로 금속 덕트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절연 피복 포함) 덕트 내부 단면적의 20% (전광 표시 장치, 출퇴근 표시등, 제어 회로용 배선만을 넣는 경우는 50%) 이하일 것
(2) 덕트 안에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어야 하나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그 접속점을 쉽게 점검할 수 있는 경우는 접속할 수 있다.
(3) 덕트는 폭이 5cm를 넘고 두께가 1.2mm 이상일 것
(4)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는 3m 이하일 것
90. 버스 덕트 공사
(1) 덕트 상호 및 전선 상호는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2) 버스 덕트 지지점간의 거리는 3m 이하일 것
91. 라이팅 덕트 공사
(1) 라이팅 덕트 지지점간의 거리는 2m 이하일 것
(2) 라이팅 덕트는 조영재를 관통하여 시설하지 말 것
92. 플로어 덕트 공사
(1) 전선은 절연 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 제외)으로 연선일 것 (단면적 10㎟이하의 것은 단선을 사용할 수 있다)
(2) 덕트 안에는 접속점이 없도록 하고 덕트 및 기타의 부속품은 2mm 이상의 강판으로 아연 도금을 하거나 에나멜로 피복한 것일 것
93. 셀룰러 덕트 공사
(1) 전선은 절연 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제외)으로 연선일 것(단면적 10㎟ 이하의 것은 단선을 사용할 수 있다)
(2) 덕트 안에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어야 하나 쉽게 점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만들 수 있다.
94. 케이블 공사
(1) 전선은 케이블 및 캡타이어 케이블일 것
(2) 전선을 조영재의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2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일 것
(3) 케이블 방호 장치 금속제 부분의 접지공사는 금속관 공사와 같다.
95. 케이블 트레이 공사
(1) 저압 옥내 배선은 다음에 의한다.
- 전선은 연피 케이블, 알루미늄피 케이블 등 난연성 케이블 또는 금속관 혹은 합성수지관 등에 넣은 절연 전선을 사용한다.
- 케이블 트레이 내에서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절연 처리해야 한다.
- 동일 케이블 트레이에 시설할 수 있는 다심케이블은 다음에 따른다.
* 케이블의 단면적이 120㎟ 이상의 케이블인 경우에는 이들 케이블의 지름의 합계는 케이블 트레이 내측 폭 이하로 하고, 단층으로 시설한다.
* 내부 깊이 150mm 이하의 사다리형 또는 통풍 트러프형 케이블 트레이 내에 다심 제어용 케이블 또는 다심 신호용 케이블만을 넣는 경우 혹은 이들 케이블을 함께 넣는 경우에는 모든 케이블의 단면적의 합계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단면적의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케이블 트레이는 다음에 접합하게 시설하여야 한다.
-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한다.
- 전선의 피복 등을 손상시킬 수 있는 돌기 등이 없이 매끈해야 한다.
-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 계통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저압 옥내 배선의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에 제3종 접지공사, 사용 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96. 저압 옥내배선 공사 요약
(1) 전선의 종류 : 절연전선
단, 옥외용 비닐절연 전선 및 인입용 비닐 절연 전선은 제외
(2) 단선을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의 굵기 : 10㎟(알루미늄은 16㎟) 이하
(3) 전선에 접속점을 만들지 아니할 것
(4) 접지공사
- 400v 미만 : 제3종 접지공사
- 400v 이상의 저압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5) 지지점간의 거리
- 애자 사용 공사 : 2m 이하 (조영재의 상면 또는 측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
- 합성 수지관 공사 : 1.5m 이하
- 금속 덕트 공사 : 3m 이하 (수직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 버스 덕트 공사 : 3m 이하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 라이팅 덕트 공사 : 2m 이하
- 케이블 공사 : 2m 이하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97. 옥내 저압용의 전구선의 시설
(1) 전구선 : 전기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중 조영물에 고정시키지 아니하는 백열전등에 이르는 전선
(2) 사용전압 : 400v 미만
(3) 전선의 종류 : 고무 코드 또는 (0.6/1kV) EP 고무 절연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 0.7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98. 옥내 저압용 이동 전선의 시설
옥내에 시설하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이동 전선은 고무 코드 또는 (0.6/1kV) EP 고무 절연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 이상인 것일 것
99.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
(1) 폭연성 분진(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탄, 지르코늄 등의 먼지로 쌓인 상태에서 착화된 때에 폭발할 우려가 있는 것), 화약류 분말이 존재하는 곳, 가연성의 가스 또는 인화성 물질의 증기가 새거나 체류하는 곳의 전기 공작물은 금속관 공사, 또는 케이블 공사(캡타이어 케이블을 제외한다)에 의하여야 하며 금속관 공사를 하는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등은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여야 한다.
(2) 가연성 분진(소맥분, 전분, 유황, 기타 먼지가 공중에 떠다니는 상태에서 착화하여 폭발할 우려가 있는 것), 성냥, 석유류, 셀룰로이드 등의 위험 물질을 제조하거나 저장하는 곳의 전기 공작물은 금속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야 한다.
100. 흥행장의 저압 공사
상설의 극장, 영화관 등의 무대, 무대 마루 밑, 오케스트라 박스, 영사실 기타 사람이나 무대 도구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등의 배선은 400V 미만으로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것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14 (0) | 2022.09.10 |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13 (2) | 2022.09.09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11 (0) | 2022.09.07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10 (0) | 2022.09.06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9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