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2

by 꿀도비 2022. 8. 29.

3.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 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을 충전부분과 대지 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4.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

전로의 종류 접지방식 시험전압 최저시험전압
최대 사용전압 7kv 이하   1.5배 500v
다중접지 0.92배 500v
7kv 초과 25kv 이하 다중접지 0.92배  
7kv 초과 60kv 이하 다중접지 이외 1.25배 10,500v
60kv 초과 비접지 1.25배  
접지식 1.1배 75kv
직접접지 0.72배  
170kv 초과 직접접지 0.64배  

5. 각종 접지공사의 세목

 

(1) 접지선은 표에서 정한 굵기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로서 쉽게 부식하지 아니하는 금속선으로서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접지공사 종류와 접지선의 굵기>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선의 굵기
제1종 접지공사 공칭 단면적 6㎟ 이상의 연동선
제2종 접지공사 공칭 단면적 16 이상의 연동선
단, 고압전로 또는 25kv 이하인 특고압가공전선로에서 중성선 다중접지식의 것으로서 지락이 생긴 경우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차단장치가 있는 특고압가공전선로의 전로와 저압 전로를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에는 공칭 단면적 6 이상의 연동선
제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 공칭 단면적 2.5 이상의 연동선

 

(2) 이동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등의 접지공사 접지선의 굵기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선의 종류 접지선의 단면적
제1종 접지공사 및 제2종 접지공사 3종 및 4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3종 및 4종 클롤설포네이트폴리에틸렌캡아이어케이블의 일심 또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의 차폐 기타의 금속제 10 
제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 다심 코드 또는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의 일심 0.75 
다심코드 및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의 일심 이외의  가요성이 있는 연동연성 1.5 

 

6. 제1종 또는 제2종 접지공사에 사용하는 접지선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시설

 - 접지극은 75c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되 동결 깊이를 감안하여 매설할 것

- 접지선을 철주 기타 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에는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30cm 이상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그 금속체로부터 1m 이상 떼어 매설할 것

- 접지선에는 절연 전선 또는 케이블을 사용할 것

- 접지선의 지하 75cm부터 지표상 2m 까지의 부분은 합성수지관 등으로 덮을 것 (단, 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콤바인 덕트관 제외)

- 접지선을 시설한 지지물에 피뢰침용 접지선을 시설하지 않을 것

 

7. 제 3종 접지공사 등의 특례

-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간의 전기 저항치가 100Ω 이하인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본다.

-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간의 전기 저항치가 10Ω이하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본다.

 

8. 수도관 등의 접지극

-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3Ω 이하의 값을 유지하고 있는 금속제 수도관로는 이를 제1종 접지공사, 제2종 접지공사, 제3종 접지공사, 특별 제3종 접지공사 및 기타의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접지선과 수도관의 접속은 안지름75mm 이상의 수도관의 부분, 또는 이로부터 분기한 안 지름 75mm 미만인 수도관의 그 분기점부터 5m 이내의 부분에서 할 것. 그러나, 수도관의 전기 저항값이 2Ω 이하인 경우에는 어느 곳에서나 접속할 수 있다.

(2) 접지선과 수도관의 접속부가 수도 계량기로부터 수용가 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도 계량기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연결할 것

(3) 접지선과 수도관의 접속에 사용하는 금속체는 접속부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는 것

(4) 대지와의 사이에 전기 저항값이 2Ω 이하를 유지하는 건물의 철골, 기타의 금속체는 경우에 따라 제1종 및 제2종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4  (0) 2022.08.31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3  (0) 2022.08.30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1  (0) 2022.08.28
전력공학4  (0) 2022.08.27
전력공학3  (0) 2022.08.26

댓글